본문 바로가기
번역/일본 위키피디아

4. 칫솔

by 연_밥 2020. 1. 6.

일시: 2019-01-06

검색어: 歯ブラシ

원문: https://ja.wikipedia.org/wiki/%E6%AD%AF%E3%83%96%E3%83%A9%E3%82%B7

본문:

 

 

칫솔(발음: 하브러시)은 양치 혹은 틀니 닦기에 사용된다. 작은 브러시다. 歯刷子(하싯시)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인 제품은 손잡이 선단 끝에 수십 개씩의 섬유가 여럿 심어져 있어 그 마찰로 치석 등의 오염물을 떨어뜨린다.

 

칫솔

 

목차

1           형상과 종류

2           역사

3           생산

4           칫솔에 의한 외상

5           각주

6           관련 항목

7           외부 링크

 

1.    형상과 종류

칫솔은 선단에서 식모부(주: 솔이 심어져 있는 부분), 경부(주: 기다란 모양의 몸통 부분), 파병부(주: 손잡이 부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식모부의 윗부분을 발끝, 아래 부분을 발뒤꿈치라고 부른다. 섬유 다발은 나열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3열로 심어져 있지만 6열, 5열, 4열, 2열, 1열 등의 솔도 있다. 솔의 끝부분 모양으로는 라운드컷모(毛)와 초극세모(毛)가 있다. 깎여 있는 모양으로는 평평한 모양 산 모양 등이 있다.

 

360도 칫솔과 같이 선단이 특수한 모양을 한 경우도 있으며 스위치를 누르면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칫솔」(전기칫솔)도 있다. 또한 손잡이 없이 손가락에 끼워서 쓰는 제품도 있다. 치약을 사용할 때에는 칫솔의 솔 끝부분에 묻혀서 닦게 되지만 「치약이 붙어 있는 칫솔」과 같이 처음부터 가루형태의 치약이 붙어있어 쓰고 버리는 형식의 칫솔도 존재한다.

 

섬유를 가공하거나 털끝을 0.02mm로 가공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 혹은 안쪽 치아의 오물을 깨끗이 닦아 내기 위한 칫솔이나, 잇몸을 자극하는 칫솔 등 기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치과용」의 제품도 제조되고 있다.

 

긴 시간 이용하면 섬유가 휘어져 솔 끝이 벌어지고 양치의 효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칫솔을 교체해야 하는 시기가 온다. 양치에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욕실의 타일이나 배수구 등의 안쪽 세세한 부분을 청소할 때 쓰는 경우도 있다. 반려동물용의 브러시도 있으며 강아지용으로는 대형견용과 소형견용 등이 있다.

 

 

2.    역사

예로부터 이를 닦을 때에는 이쑤시개를 사용했다. 이것은 일반적인 이쑤시개爪楊枝가 아니라 房楊枝라고 불리는 것으로, 얇은 나무줄기를 브러시와 같이 한쪽 끝을 잘게 씹어서 사용했다. 이쑤시개로 이를 닦는 습관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불명확하지만, 불전에서 석가가 이쑤시개를 사용한 뒤 땅에 던진 곳에서부터 갑자기 뿌리를 내려 거목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당시에 이쑤시개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도 칫솔이 상용화되기까지는 房楊枝가 일반적으로 양치에 사용되었다.

 

미국 치과의사회에 따르면 1498년에 중국 황제가 돼지의 털을 뼈 손잡이에 심은 것을 양치에 사용했다고 하며 이것이 최초의 칫솔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223년 송나라에서 유학한 선승 미치모토가 현지에 의한 「くちすすぐともがらは、馬の尾を寸餘にきりたるを牛の角のおほきさ三分ばかりにて方につくりたるがながさ六七寸なる、そのはし二寸ばかりにうまのたちがみのごとくにうゑて、これをもちて牙歯をあらふ」 습관을 기술하였으며, 실제 역사는 더 오래됐을 것으로 사료된다. 17세기경부터 유럽에서도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19세기에 대량생산이 되기까지 일반적으로 쓰이진 않았다.

 

1872년에 오사카에서 고래수염 자루에 말의 털을 심은 「鯨楊枝(주: 직역하면 고래 이쑤시개)」가 제조 판매되었으며 1860년에 오사카 성업 주식회사가 「칫솔」이란 명칭으로 제3회 내국 권업 박람회에 출품한다. 1903년(다이쇼 3년)에 코모리 도미지로小林富次郎(현재의 라이온)가 「만세 칫솔」을 발매. 1938년 2월 24일에는 뒤퐁사가 나일론제의 칫솔을 처음 판매했다.

 

 

3.    생산

일본 국내에서는 연당 약 4억 개가 생산되고 있다. 쇼와 20년대에는 오사카부가 전국의 출하액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었으나 유력한 메이커 공장의 이전 등으로 인해 2009년에는 오사카부의 출하액이 차지하는 점유율이 15.8%까지 떨어졌다. 또한 긴테츠야오 역 앞에는 「생산고일본일 生産高日本一」이 기록된 칫솔 모양의 기념물이 설치되어있다.

 

가정용품 품질표시법의 대상 품목이며 손잡이의 재질(폴리프로필렌,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 솔의 재질(인공모(나일론 등), 천연모(백마모, 돼지, 말 등)), 솔의 경도(딱딱함, 보통, 부드러움), 내열온도(60도, 80도 등), 표시자명을 표시해야 한다. 이에 더하여 일본 공업규격(JIS S3016)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4.    칫솔에 따른 외상

어린아이가 입에 젓가락이나 막대 등을 문 채로 굴러 넘어지거나 충돌할 때 구강 내의 연조직이 상처를 입는 경우가 있으나, 그 원인 중 제1위가 칫솔이며 비율이 30% 이상이라 알려져 있다. 칫솔 형태 덕분에 증상은 경미한 수준이 많지만 중증에 이르는 위험성 높은 경우도 많다. 보호자에 의한 위험성 확인이나 감시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생략)

'번역 > 일본 위키피디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밀크티  (0) 2020.01.05
2. 기타  (0) 2020.01.03
1. 타피오카  (0) 2020.01.03